한국은행이 22일 연 3.50%로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했다. 이는 지난해 2월부터 9번 연속 동결 조치로, 당분간 금리 인하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며 통화 긴축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행은 2020년 3월 코로나19 당시 경기침체가 예상되자 기준금리를 인하해오다 1년3개월 만인 2021년 8월 다시 금리인상 기조로 돌아섰다. 이후 2021년 11월, 2022년 1·4·5·7·8·10·11월, 올해 1월까지 총 3.00%p(포인트) 인상을 지속하다 지난해 1월 말부터 1년 이상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있다.
이날 오전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조정 없이 현 수준(3.50%)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결정은 물가‧가계부채·부동산 PF 등 상충적 요소들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불가피한 선택을 한 것으로 해석된다.
통화 정책의 최우선 목표인 물가 안정 측면에서, 주요 지표인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해 12월(3.2%)까지 5개월 연속 3%대를 유지하다 올해 1월(2.8%) 반년 만에 2%대로 내려왔다. 다만 한국은행의 목표인 2%까지는 간극이 존재한다. 따라서 그동안 식료품·에너지 등 원부자재 가격에 따라 언제든지 상승률이 튈 가능성이 있다.
또 경제 규모(GDP)에 비해 가계부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총선을 앞두고 개발 공약이 쏟아지는 등 부동산 시장이 들썩이는 점도 한국은행이 금리인하를 머뭇거리게 하는 요인이란 시각이 나온다.
실제 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은 지난달까지 10개월째 늘어나는 추세다. 특히 지난달은 주택담보대출(전세대출 포함)이 4조9000억원 늘었는데, 이는 2021년 1월 이후 역대 두 번째로 큰 증가폭이다.
미국의 인하 시점이 시장의 기대와 달리 계속 늦춰지는 점도 한은의 동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21일(현지 시각)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 따르면, 위원들은 대체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목표(2%)를 향해 계속 둔화하고 있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 기준금리 인하는 적절치 않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