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반도체 장비 中 수출규제 확대…삼성전자·SK하이닉스 영향은?

14나노 이하 장비 수출 금지…중국 반도체 견제
메모리 반도체 기반 삼성전자·SK하이닉스 영향 ‘미미’
산업부, EUV 장비 국내 도입 관련 규제 손본다
신종모 기자 2022-09-14 09:57:43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스마트에프엔=신종모 기자] 미국이 중국에 대한 반도체 장비 수출규제를 더욱 강화할 예정인 가운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기업들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14일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조 바이든 미 행정부가 다음 달 중국에 대한 반도체 장비 수출규제를 14나노미터(nm·10억분의 1m) 이하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최근 밝혔다.

이는 첨단 반도체를 생산하는 중국 내 공장으로 허가 없이 반출할 수 없도록 해 중국에 수출을 원천 차단하기 위한 조치로 분석된다. 이를 통해 미국이 반도체 장비산업 등 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중국보다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다. 현재 양국은 첨단 반도체 기술패권을 놓고 첨예하게 대립 중이다.

앞서 미 상무부는 올해 초 공문을 통해 KLA와 램리서치,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등 3개 기업에 반도체 장비를 중국에 반출하지 말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지난달에는 엔비디아, AMD에 인공지능(AI)용 반도체에 대해서도 허가 없이 반출하지 말라고 공문을 보낸 바 있다.

현재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기업들은 사태 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중국 산시(陝西)성 성도 시안(西安)시에 낸드플래시 생산 공장을 가지고 있다. 시안은 삼성전자 전체 낸드 생산의 40%를 차지한다. 또 삼성전자는 쑤저우에도 반도체 후(後)공정인 패키지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SK하이닉스도 중국 장쑤성 우시에 D램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 공장에서는 D램 생산량의 50%를 생산하고 있다. 아울러 랴오닝성 다롄에서는 낸드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미국의 반도체 제조장비 수출 제한 기준 강화에도 국내 기업들은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업계 한 관계자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중국 내에서 주로 메모리 반도체를 생산하고 있어 이번 조치로 인한 피해는 미미할 것”이라며 “다만 미국의 수출규제 이후 장비 국산화에 대한 부담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한편 중국 정부는 미국의 이 같은 조치에 “과학기술 패권주의”라며 날을 세웠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13일 “미국은 과학기술 우위를 이용해 신흥 시장과 개발도상국을 억제하고 탄압하려 하고 있다”고 말했다.

3나노 파운드리 양산에 참여한 파운드리사업부, 반도체연구소, 글로벌 제조&인프라총괄 주역들이 손가락으로 3을 가리키며 3나노 파운드리 양산을 축하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3나노 파운드리 양산에 참여한 파운드리사업부, 반도체연구소, 글로벌 제조&인프라총괄 주역들이 손가락으로 3을 가리키며 3나노 파운드리 양산을 축하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EUV 장비 국내 도입 규제 개선

한국 정부가 차세대 극자외선(EUV) 노광장비의 국내 도입을 촉진하기 위해 규제를 개선할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2일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을 위해 반도체산업에 사용되는 고압가스에 대한 안전혁신과제를 합리적으로 개선해 기업부담을 완화한다는 계획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그동안 반도체 산업을 지원하고 반도체 제조 용도의 수입 산업가스 수급안정을 위해 ‘검사생략 고압용기의 해외 반송기한’을 6개월에서 최대 2년으로 연장하는 등 지속해서 규제를 발굴·개선해 왔다.

특히 이번 규제 개선시 국내 반도체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한층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규제 개선이 현실화한다면 차세대 EUV 장비의 국내도입시 걸림돌을 제거해 첨단제조설비를 선점함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방호벽 설치기준 등을 완화하는 등 반도체 공장의 증설을 용이하도록 해 반도체공장 내 부지의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다.

EUV 장비는 극자외선을 이용해 반도체 회로를 그려주는 노광장비로 현재 네덜란드 ASML이 독점 생산하고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반도체산업 뿐만 아니라 타 산업에서도 안전 확보와 산업 발전의 균형을 도모하는 규제혁신과제를 지속해서 발굴해 기업경쟁력이 강화되도록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신종모 기자 jmshin@smartfn.co.kr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