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이배 제주항공 대표 "유가족 긴급지원금 준비, 항공기 안전대책 강화"
2024-12-31
제주항공 참사 이후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들의 정비 부실 문제가 관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2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이번 참사 원인과 관련해 제주항공의 무리한 운항과 이에 따른 기체 노후화, 정비 부실 가능성이 지속적으로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LCC의 경우 엔진 수리 등 중정비를 해외에 맡기는 비율이 70%를 넘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국내 항공사들이 정비사 수를 늘리고 중대한 기체 결함을 보수할 수 있는 중정비 역량을 키워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일상정비에 국한된 정비인력 충원과 안전 투자 증대만으로는 제주항공과 같은 LCC의 정비 역량이 크게 개선되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 국내 모든 LCC가 항공기 안전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된 중정비 역량을 보유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항공사 중에는 대형항공사(FSC)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만 격납고를 보유하고 엔진 고장 등 중대한 기체 결함을 수리할 수 있는 능력인 MRO 역량을 갖췄다. LCC들은 해당 역량을 갖추지 못해 외주를 맡겨야 한다.
국내 MRO 업체는 대한항공과 한국항공서비스(KAEMS·캠스)가 유일해 LCC들은 기체 고장 시 대부분 해외에 보수를 위탁해야 한다.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이사도 최근 브리핑에서 "일상 정비는 자체 수행하고 중정비는 MRO 업체로 보낸다"면서 "국내에 캠스가 있지만 슬롯(보수공간)이 제한돼 국내에서 일부 수행하고 나머지는 해외 MRO 업체로 보낸다"고 밝힌 바 있다.
최근 10년간 LCC 수가 크게 늘고 수리해야 할 항공기 수도 많아지면서 해외 위탁 비중과 수리 비용이 급증하고 있다.
국토부에 따르면 국적 항공사들의 해외 정비 비용은 2019년 1조2580억원에서 2023년 1조9898억원으로 4년간 58.2% 늘었다. 해외 정비 비중도 45.5%에서 59%로 13.5%포인트 증가했다.
LCC들의 해외 정비 비용도 같은 기간 3072억원에서 5027억원으로 63.6% 늘었다. 다른 나라에서 정비받는 비중도 62.2%에서 71.1%까지 뛰어올랐다. 항공기의 주요 결함이 의심될 때 10건 중 7건은 비행기를 해외로 보내야 한다는 뜻이다.
이번 참사와 같은 대형 항공 사고를 일으키는 중대한 결함은 해외 정비에 기댈 수밖에 없어 LCC들에 대한 정비 부실 지적은 계속해서 제기될 전망이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LCC들은 대부분 해외 중정비 전문 업체에 수리를 맡겨야 해 비용이나 효율성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정비 품질 향상은 항공 안전에 필수적인 만큼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동하 기자 rlaehdgk@smartfn.co.kr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