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김밥이 4천원?'...치솟는 물가 1만원 이하로 한끼 식사 불가능
2024-06-03
소비자물가가 2%대 오름세를 석달 연속 기록하면서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다만 과일의 경우 사과와 배, 석유류와 외식 등 일부 품목의 물가는 불안정하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동향 및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올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3.84(2020년=100)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4% 올랐다. 이는 작년 7월(2.4%) 이후 11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폭이다.
올해 1월 2.8%에서 2∼3월 3.1%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상향곡선을 그리다 지난 4월(2.9%)부터 다시 2%대로 내려갔다. 품목별로 보면 농·축·수산물이 작년 대비 6.5% 상승했다. 수산물(0.5%)과 축산물(-0.8%)은 안정적 흐름을 보인 반면 농산물이 13.3% 상승한 탓이다.
사과(63.1%)와 배(139.6%)는 등 과일 가격 강세는 지난달에도 계속됐다. 토마토(18.0%), 고구마(17.9%) 등 품목의 오름세도 부각됐다. 특히 김은 28.6% 상승해 1987년 12월(34.6%)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석유류 역시 4.3% 올라 전월(3.1%)보다 오름세가 확대됐다. 2022년 12월 6.3% 증가한 이후 약 18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을 보였다. 외식 물가는 원재료비와 인건비 상승 등의 영향으로 작년 대비 3.0% 올랐다.
이에 반해 가공식품의 상승률은 1.2%로 전월(2.0%)보다 줄어들었다. 지난 2021년 2월(1.2%) 이후 40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기여도 측면에서는 농산물이 물가상승률을 0.49%포인트(p) 견인했고 외식을 비롯한 개인 서비스 물가도 0.93%p 인플레이션 요인으로 작용됐다. 석유류의 기여도는 0.16%p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 지수들은 2%대 초반까지 상승 폭이 됐으며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작년 동월 대비 2.0% 증가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2.2% 올랐다.
소비자가 자구 구매하는 품목으로 구성돼 물가 체감에 가장 가까운 생활물가는 2.8% 올랐다. '밥상 물가'와 직결되는
신선식품 수치는 지난해 대비 11.7% 상승해 높은 증가세를 이어갔다.
신선식품 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11.7% 올랐다. 신선어개(-1.4%)와 신선채소(-0.8%)는 감소했지만, 신선과실이 31.3% 증가했다.
홍선혜 기자 sunred@smartfn.co.kr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