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오토에버, 자율주행 안전성 관련 국제표준(SOTIF) 인증 획득
2024-12-12
오는 20일로 다가온 트럼프 2기 행정부를 앞두고 자율주행차 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가 빅테크 규제에 초점을 맞췄던 것과 달리 트럼프는 기술 패권 확보를 위해 자율주행 산업을 적극 육성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트럼프 정부의 자율주행차 육성 의지는 인사에서도 볼 수 있다. 일론 머스크가 정부 요직에 임명되고 자율주행차 규제 완화를 강력히 주장하던 숀 더피가 교통부 장관으로 내정되면서다.
이렇듯 미국 자율주행차 시장은 활기가 돌지만 우리나라 자율주행 시장은 관련 정책이 기술을 쫓아가지 못하면서 답보 상태다. 특히 최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정국에 뚜렷한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다만 미국 자율주행차 시장 움직임에 따라 향후 국내 자율주행차 시장이 활로를 찾을 수 있을지가 주목된다.
최근 미국 자율주행차산업협회는 미국 교통부에 '자율주행차의 설계, 건설 및 성능에 대한 책임을 주장하고 핵심 영역에서 노력을 강화할 것'을 촉구하는 정책 프레임워크를 제안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를 앞두고 업계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트럼프 인수위원회가 자동차 사고 보고 요구 조항 폐기를 원한다는 보도가 나오는 등 자율주행차 산업을 육성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서다.
바이든 행정부의 경우 자율주행차 산업에 다소 보수적이었다.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지난 7일(현지시간) 스마트 호출(ASS) 자율주행 기능을 탑재한 미국 내 테슬라 차량 260만대를 대상으로 한 예비조사에 들어간 것도 트럼프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NHTSA에 비판적이었던 머스크에 대한 견제 차원이라는 해석도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하면 연방정부 차원의 규제 완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효율화부(DOGE) 수장으로 앉을 머스크와 자율주행차 규제 완화를 강력히 주장하던 숀 더피가 교통부 장관으로 내정됐기 때문이다.
구글과 테슬라의 양강구도…향후 자율주행 시장 전망
미국 자율주행차 시장은 현재 구글 웨이모와 테슬라의 양강 구도로 형성돼 있다. GM의 크루즈는 100억달러(약 14조7000억원)을 투자했지만 2023년 보행자 사고 이후 사업을 전면 중단했다. 현대차의 앱티브, 포드와 폭스바겐의 아르고AI 등 다른 전통 자동차 업체들의 자율주행 프로젝트도 중단되거나 지지부진하다.
웨이모는 이미 샌프란시스코, 로스앤젤레서, 피닉스 등에서 무인 택시 서비스를 시작했다. 2024년 6월부터 본격적인 상용 서비스에 들어갔고 소비자들의 반응도 긍정적이다. 웨이모는 라이다 센서를 활용한 정밀한 주행이 특징이지만 수천만원에 달하는 센서 가격이 대중화의 걸림돌로 지적된다.
반면 테슬라는 '인간도 눈으로만 보고 운전하는데 자동차도 마찬가지여야 한다'는 철학을 바탕으로 8개의 카메라와 AI 기반 비전 시스템을 채택했다. 초기에는 실현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됐지만 최근 공개된 자율주행 시스템 FSD 13.2 버전은 주차장에서 주차장까지 완벽한 자율주행을 구현하며 호평받고 있다. 테슬라는 2026년 양산을 목표로 3만 달러(약 4400만원) 이하의 자율주행 택시 '사이버캡'도 준비 중이다.
전문가들은 웨이모와 테슬라의 사업 전략이 구글의 안드로이드와 애플의 iOS를 닮아갈 것으로 전망한다.
웨이모는 현대차를 비롯한 완성차 업체들과 협력해 자율주행 플랫폼을 제공하는 전략을, 테슬라는 하드웨어부터 소프트웨어까지 직접 개발하는 수직계열화 전략을 택했다. 테슬라는 나아가 개인 소유 차량을 자율주행 택시로 활용하는 우버형 모델까지 구상 중이다.
중국도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 등 정보기술(IT) 기업들과 BYD, 지리자동차 등 전기차 업체들이 자율주행 시장에 뛰어들었다. 중국 정부는 전기차에 이어 자율주행차도 미래 성장동력으로 보고 전폭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다만 자율주행차가 도로 정보를 수집한다는 점에서 국가 안보와 직결되는 만큼 미중 갈등으로 인해 양국간 자율주행차의 상호 운행은 제한될 것으로 보인다.
자율주행차 시장에 대한 기대감 상승…다만 한국은?
미국 자율주행차 시장은 트럼프산 기대감을 안고 달리지만 한국 시장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서울 상암동과 경기 화성 등에서 제한적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고 최근 무인 자율주행차 임시 허가제를 도입하는 등 규제 완화에 나섰지만 독자 생존은 쉽지 않다는 평이다.
더불어 현대자동차가 아이오닉 5 로보택시 생산을 시작하고 스트라드비젼 등 스타트업이 레벨 3 수준의 기술 성과를 발표하는 동안 제도적 뒷받침은 미비하다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자율주행차 산업은 업체들의 기술개발 뿐만 아니라 관련 제도에서 정부의 선제적인 조치가 함께 가야하는 산업"이라며 "기술 발전의 속도를 정책이 따라가지 못하면 글로벌 업계에서 도태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문제점은 더 있다. 힘을 실어줘야 하는 정부가 탄핵 정국 혼란으로 도움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우려도 나온다. 특히 R&D(연구개발) 예산 삭감으로 자율주행 스타트업의 자금줄이 막혔다. 더불어 대형 국가 R&D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를 폐지하는 방안이 정부 입법으로 발의됐지만 국회에서 논의되지도 못하면서 시행이 불투명하다.
이에 국내 업체들은 미국을 택하고 있는 모습을 보인다. 현대차그룹은 최근 구글 웨이모와 협력해 아이오닉 5 기반의 자율주행 택시를 선보이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자체 개발보다 글로벌 플랫폼을 활용하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앱티브 프로젝트의 실패를 교훈 삼아 현실적인 접근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그룹은 웨이모 뿐만 아니라 아마존 같은 미국 빅테크 업체, GM 등 완성차 업체와도 협력에 나서고 있어 미국의 기술패권의 중심으로 들어갈 수 있을 전망이다.
이호근 대덕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자율주행차 제품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자원, 시장, 기술력, 규제가 마련돼야 한다"며 "한국의 경우 자원과 시장이 뒷받침 해주지 못해 기술력을 앞세워야 하는데 규제에 발목을 잡힌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국내 기업이 합작회사 설립 등으로 해외로 나가 기술 유출의 문제도 있고 상용화 후 수익이 해외로 이탈될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김동하 기자 rlaehdgk@smartfn.co.kr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