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 대대적 '리밸런싱' 본격화?…핵심 계열사 합병 추진

자회사 간 합병 검토…계열사 간소화·자금 확보
신종모 기자 2024-06-25 14:10:17
국내 10대 그룹 중 최다 계열사를 보유한 SK그룹이 대대적인 사업 리밸런싱(구조조정)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방만한 투자에 따른 중복 사업을 정리하고 미래 사업 투자를 위한 유동성을 확보하자는 취지다. 

SK 서린 본사 전경. /사진=SK


25일 재계에 따르면 SK그룹은 자회사 간의 합병을 통한 계열사 간소화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표적으로 SK이노베이션-SK E&S, SK에코플랜트-SK머티리얼즈 등이다. 

SK이노베이션이 SK E&S와 합병하면 재무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동시 재무 부담을 겪고 있는 SK온에 원활비 자금을 지원할 수 있다. 

SK이노베이션의 부채는 지속해서 늘어나 지난해 말 50조7592억원으로 3년 만에 2배 이상으로 불어났다. 

SK온은 올해 1분기에 3315억 원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출범 이래 10개 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10개 분기 누적 적자 규모는 2조5876억 원에 달한다.  

SK에코플랜트도 그룹 내 캐시카우로 등극한 SK머티리얼즈의 사업용 자회사 사업부와 합병하면 재무 건전성이 강화될 수 있다. 

SK에코플랜트는 지난해 1745억 원의 영업이익을 올렸지만 336억원 순손실을 기록하고 있다. 단기차입금이 늘어나면서 재무 건전성이 불안정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SK에코플랜트와 합병이 추진되는 SK머티리얼즈의 산업용 가스 자회사는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산업용 가스 제조),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반도체산업용감광제 제조), SK트리켐(반도체 전구체 제조)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 가운데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와 SK트리켐은 SK머티리얼즈 등이 재무가 건전한 회사로 손꼽힌다. 

만일 합병이 현실화된다면 SK온과 SK에코플랜트가 추진 중인 기업공개(IPD)도 용이할 수 있다.

IB 업계 관계자는 “이들 기업의 합병 성사 시 합병법인에 대한 SK그룹의 지배력이 강화될 수 있다”며 “SK그룹 지주사 SK㈜는 100% 자회사가 아닌 SK이노베이션(36.2%), SK E&S(90%), SK에코플랜트(44.48%), SK트리켐(65%) 등의 지배력을 공고히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분 유동화 등 추가 딜이 파생될 개연성이 크다는 점에서다. 이번 합병으로 SK그룹 지주사 SK㈜는 100% 자회사가 아닌 SK이노베이션(36.2%), SK E&S(90%), SK에코플랜트(44.48%), SK트리켐(65%) 등의 지배력을 공고히 할 수 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지난 17일 오전 서울 종로구 SK서린사옥에서 열린 재판 현안 관련 설명 자리에 참석해 항소심 관련 입장을 밝히고 있다. /사진=SK그룹


최태원 회장, 1조 원 재산 분할 자금 마련 확보 불가피 

일각에서는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에게 이혼에 따른 재산 분할로 1조3808억원을 현금으로 지급하라는 항소심 법원의 판결이 나오면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봤다. 

계열사 지분을 유동화 최상의 시나리오는 SK E&S를 비상장회사로 하고 SK이노베이션과 합병하면 상장주식으로 바뀌게 된다. 결과적으로 ㈜SK의 합병법인 지분율이 올라가게 된다. 

SK그룹 입장에서는 추후 지분을 매각해서 유동화할 수 있게 된다. 

재계 관계자는 “기업 합병까지 소액주주 등의 반발에 부딪칠 수 있다”며 “자금 확보와 경영권 강화를 위해서는 합병이 최선의 카드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25일 공정거래위원회가 지난달 발표한 2024년도 공시대상기업집단(대기업집단) 지정 결과를 보면 SK그룹의 계열사는 219개로 올해 처음 200개를 돌파했다. 지난 2014년 80개에 현재까지 10년 새 3배가량 증가했다. 

SK그룹의 계열사 수는 88개 대기업 집단 중 압도적으로 가장 많다. 

상위 10대 그룹의 계열사 수를 살펴보면 삼성 63개, 현대차 70개, LG 60개, 포스코 47개, 롯데 96개, 한화 108개, HD현대 29개, GS 99개, 농협 54개 등이다. 

재계 안팎에서도 SK그룹의 계열사의 이름조차도 헷갈린다는 지적이 많았다. 

신종모 기자 jmshin@smartfn.co.kr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