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금융권 등에 따르면 태영건설은 이날 이사회를 열어 워크아웃 신청을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동안 수천억대의 대출을 제공해온 금융기관들은 채권 손실을 우려하고 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유동성 위기가 결국 워크아웃으로 이어진 것이다.
태영건설의 높은 부채 비율 등을 고려했을때 금융기관들은 워크아웃 진행시 일부 채권 손실이 불가피해진다. 금융권에서는 중견기업인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여파로 중소 건설업체들의 도산의 가능성이 있어 빨간불이 켜진상태다.
이날 금융감독원의 전자공시에 따르면 태영건설의 3분기 말 장기차입금 총액은 1조4942억원이며, 단기차입금 총액은 6608억원이다. 이 중 국내 은행권에게 빌린 금액은 장기차입금 4693억원, 단기차입금 2250억원 등 총 7243억원이다.
장기차입금에는 일반 및 시설자금 대출을 포함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대출이 포함된다.
은행별로는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이 PF대출 1292억원과 단기차입금 710억원 등 2002억원으로 가장 많은 채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민은행은 PF대출 1500억원, 단기차입금 100억원 등 1600억원을 빌려줬다.
두 은행에 이어 기업은행은 PF대출 997억원, 우리은행은 단기차입금 720억원, 신한은행은 PF 대출 436억원과 단기차입금 200억원 등 636억원, 하나은행은 PF 대출 169억원과 단기차입금 450억원 등 619억원을 각각 태영건설에 대출해줬다.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신청 배경에는 만기가 다가온 부동산 PF대출 상환이 문제로 거론된다. 서울 성동구 성수동 오피스 개발 사업과 관련된 480억원 규모의 PF채무의 만기가 28일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이날 금융권에 따르면 태영건설의 순수 부동산 PF잔액은 3조2000억원이며 이달까지 만기인 PF보증채무는 3956억원으로 알려졌다.
태영건설의 3분기 말 기준 순차입금은 1조9300억원 및 부채비율은 478.7%이다. 이는 시공 능력 평가 35위권 내 건설사들 중 가장 높은 부채 비율이다.
이날 태영건설이 워크아웃에 들어가면서 채권단의 관리하에 대출 만기 조정과 신규 자금 지원등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워크아웃의 법적 근거인 기업구조조정촉진법(기촉법)은 일몰됐다가 지난 26일 다시 시행됐으며 태영건설이 이에 따른 1호 워크아웃 기업이 될 가능성이 높다.
태영건설이 워크아웃을 신청하면서 금융기관들은 채권 일부에 대한 손실을 감수해야 가능성이 커졌으며 태영건설 신용등급 강등에 따른 간접 손실도 우려되고 있다.
여러 은행들은 태영건설 워크아웃 신청을 시작으로 중소 건설사 줄도산 사태가 확산할 수 있다고 내다보고 전체 PF사업장별 분양과 공정 현황, 공사비 확보 현황 등을 수시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여파에 대해 "부동산 PF 위기가 금융권 전반으로 확산하지 않도록 할 것"이며 "당국에서 원칙에 따라 리스크를 잘 관리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