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난에 허덕’ 삼성전자·SK하이닉스, HBM 인재 확보 사활

반도체 인력 2031년 30만4000명…실제는 5만4000여명 불과
미국·일본도 인력난 심화…대규모 투자 역효과
신종모 기자 2024-08-23 11:19:18
최근 슈퍼사이클에 맞물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고역대폭 메모리(HBM)의 최대 수혜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기존 인력들이 대거 글로벌 업체로 이직하면서 현재 HBM 인재가 부족한 상황이다. 반도체 패권을 둘러싼 주요국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자칫 인력부족으로 경쟁력이 약화될 우려를 낳고 있다. 이에 반도체 기업은 물론 정부까지 나서 반도체 인재 확보에 힘을 쏟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국내 주요 대학에 반도체 계약학과를 운영하는 등 반도체 인재 확보에 나서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삼성전자 반도체(DS) 부문은 채용행사인 ‘테크&커리어(T&C) 포럼’ 대상 학교를 지난해 5개에서 올해 6개 대학교로 확대했다. SK하이닉스도 지난 20일부터 반도체 우수 인재 확보를 위해 서울대학교를 시작으로 국내 5개 공과대학을 돌며 ‘테크 데이(Tech Day) 2024’를 진행한다. 

이번 인재 확보는 글로벌 일류 경쟁력과 기술 리더십 그리고 미래 인공지능(AI) 메모리 시장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반도체 인력 부족은 꽤 심각한 상황이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에 따르면 국내 반도체 인력은 오는 2031년 30만4000명에 달한다. 하지만 실제 공급 규모는 5만4000여명에 불과하다. 인력 배출 규모는 매년 공급되는 인력이 직업계고 1300명, 전문학사 1400명, 학사 1900명, 석·박사 430명 등 5000여 명에 머물러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해 말 발표한 산업 기술인력수급실태조사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국내 반도체 산업 분야의 기술 부족 인력은 지난 2019년 1579명, 2020년 1621명, 2021년 1752명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정부도 발 벗고 나서도 있다. 산업부는 향후 5년간 첨단산업인 반도체에서 2000명의 인재 육성에 나설 계획이다. 

반도체 설계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교 내 양성과정을 강화하고 현장에 즉시 투입 가능한 설계 엔지니어 교육과정도 신설한다. 아울러 유관부처와 협의해 우수한 외국인 인재가 국내 팹리스에 취업할 수 있는 여건도 개선할 방침이다. 

박성택 산업부 차관은 “AI의 핵심은 맞춤형 고성능·저전력 시스템반도체”라며 “반도체 시장에서 PC, 모바일에 이어 AI라는 제3의 물결이 오는 상황에서 정부는 우리 반도체기업이 성공할 수 있도록 필요한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반도체 관련 학과를 운영하고 있지만 등록하는 학생수가 저조하다”며 “이는 우수 이공계 학생들이 반도체 업계보다 안정적인 의대로 진학을 많이 하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반도체 계약학과에 진학해 반도체 업체에 들어간다고 해도 경쟁사에서 높은 연봉을 제시한다면 이직 유혹을 뿌리칠 수 없다”면서 “반도체 확보와 동시에 인재 이탈도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사진=연합뉴스


반도체 인력난 미국·일본도 고민 

반도체 인력난이 한국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경쟁사들이 있는 미국과 일본도 같은 고민을 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민관이 오는 2032년까지 2500억달러(약 335조원)를 투자해 16만개 이상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미국은 18조원을 투입해 인재 양성을 통해 반도체 인력 수급 격차를 해소하겠다는 전략이다. 

일본도 지난 2021년 반도체 전략을 수립했다. 과거 반도체 강국 위상을 되찾기 위한 것이다. 

세부적으로 대만 TSMC, 미국 마이크론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의 대규모 투자를 유치했다.  도요타, 소니 등 자국 기억이 합작해 만든 라피더스에도 9조원 규모의 보조금도 지원하기로 했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 이 외에도 반도체 인력난이 심각한 것은 최근 AI반도체 시장에서 패권을 잡기 위해 막대한 투자를 단행할 결과”라며 “자국뿐 아니라 해외 인력까지 유입되다 보니 근무시간, 문화차이 등 예상하지 못한 이슈들이 발생하면서 인력 이탈이 심화되고 있다”고 전했다. 

신종모 기자 jmshin@smartfn.co.kr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