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천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를 계기로 전기차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전기차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긴급회의를 12일 개최한다.
이날 회의는 날로 증가하는 전기차 화재에 대응하고자 열리는 만큼 얼마나 실효성이 있는 대책이 나올지 주목된다.
지난 1일 화재가 발생했던 벤츠 EQE모델에 중국 파라시스의 배터리가 탑재된 것으로 조사되면서 '배터리 제조사'를 공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현재는 차량의 크기와 무게, 최대 출력, 전비, 배터리 용량 등만 안내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소비자들의 불안을 잠재우고자 선제적으로 홈페이지에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를 공개했다. 이어 배터리 이상 징후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화재 위험에 적극 대처할 방침이다.
그러나 수입차 업계는 부품 공급사를 공개하지 않는다는 본사 방침을 이유로 공개하지 않고 있다.
앞서 유럽의 경우 오는 2026년부터 전기차 제조사들이 소비자에게 배터리 제조사 정보를 공개하도록 했다. 미국의 일부 주도 배터리 정보 제공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오는 13일 국내 완성차 제조사 및 수입사와 함께 전기차 안전 점검 회의를 열어 입장을 들을 계획이다.
화재의 원인으로 꼽히는 '과충전'에 대한 방안도 논의된다.
100% 충전된 전기차는 그렇지 않은 차보다 화재 발생 시 파급력이 훨씬 강하다.
때문에 충전율 및 충전시간 제한, 과충전 방치 장치 부착 등의 방안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9일 서울시는 다음달 말까지 '공동주택 관리규약 준칙'을 개정해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에 90% 이하로 충전된 전기차만 출입할 수 있도록 권고한다고 발표했다.
근본적으로 충전기 자체에서 과충전을 막을 수 있는 전력통신(PLC) 모뎀 설치를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할 수 있다.
행정안전부 산하 정부청사관리본부도 '2024년 정부청사 전기차 충전기 확충사업' 내용을 변경해 지하에 설치 예정됐던 전기차 충전기 일부를 지상으로 옮기기도 했다.
현행 규정상 지상 전기차 충전기 설치를 강제할 수 없다. 설치 비용 일부 지원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식으로 고려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정부는 신규 설치는 물론, 기존의 완속충전기를 PLC 모뎀 장착 제품으로 바꿀 수 있게 지원하는 식으로 보급을 늘리는 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김동하 기자 rlaehdgk@smartfn.co.kr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