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대(對)중국 수출 비중…20년새 13배 늘어

반도체, 지난해 中 수출 비중 36.5%p↑
신종모 기자 2022-08-21 16:09:09
대(對)중국 수출 비중 높은 산업 톱(Top)10 순위 변화. /자료=대한상의
대(對)중국 수출 비중 높은 산업 톱(Top)10 순위 변화. /자료=대한상의
[스마트에프엔=신종모 기자] 최근 20년간 대(對)중국 수출의존도가 가장 많이 증가한 산업은 ‘반도체’인 것으로 조사됐다.

21일 대한상공회의소가 한·중 수교 30주년을 맞아 발표한 ‘산업별 중국 수출의존도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중국 수출 비중이 큰 산업은 ‘정밀기기’, ‘정밀화학’, ‘반도체’, ‘유리’, ‘석유화학’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지난 2000년 반도체산업의 중국 수출 비중은 3.2%에 불과했으나 지난해에는 39.7%로 36.5%p, 약 13배가량 증가했다.

대한상의는 “소비재의 중국 수출의존도는 상대적으로 줄어든 반면 기술집약 산업의 대중 수출이 크게 늘어난 양상”이라며 “한·중 양국의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결과”라고 분석했다.

반도체에 이어 수출 비중 증가폭이 큰 업종은 정밀기기, 디스플레이, 세라믹, 통신기기 순이었다.

대한상의는 “국내 고부가가치 산업의 중국 수출의존도 증가는 역으로 말하면 중국과의 기술격차가 좁혀졌을 때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라며 “중국의 추격을 따돌리기 위한 기술혁신을 위해 기업과 정부가 온 힘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상의는 이어 “경제안보와 직결되는 고위기술 산업군은 대외리스크에 훨씬 민감하다”면 “중국 수출 의존도를 중국이 무기화하지 못하도록 수출 다변화 등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보고서는 수교 이래 중국 수출 교역은 빠르게 급증하며 한국 경제성장의 원동력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수교 8년 뒤인 2000년 한국의 중국 수출 규모는 185억달러로 전체 수출의 10.7%에 불과했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1629억달러로 9배 가까이 증가하며 전체 수출의 25.3%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한국의 수출 규모가 3.7배 증가한 것을 고려하면 매우 큰 폭으로 증가한 셈이다. 중국은 지난 2003년 한국의 최대 수출국이었던 미국을 앞선 이후 현재까지 부동의 1위를 유지하고 있다.

한국의 중국 수입 규모는 2000년 128억 달러로 그 비중은 8% 수준이었으나 지난해에는 22.5% 수준인 1386억달러로 증가해 10배 이상 커졌다. 반면 한국 수입 규모는 1605억달러에서 6151억달러로 3.8배 증가했다.

다만 최근 추이를 살펴보면 대중 교역 규모는 성장하는 데 반해 교역수지는 악화하는 상황에서 보고서는 “원자재·중간재 등 분야에서 대중 수입 규모가 급격하게 증가한 반면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인한 중국의 경제성장률 하락이 수요 감소로 이어지면서 대중 수출은 상대적으로 적게 증가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라고 분석했다.

최근 20년간 대(對)중국 수출 비중 가장 많이 늘어난 산업 톱(Top) 10. /자료=대한상의
최근 20년간 대(對)중국 수출 비중 가장 많이 늘어난 산업 톱(Top) 10. /자료=대한상의
대(對)중국 직접투자 규모 8배 늘어

또한 보고서는 중국 직접투자의 양상 변화에도 주목했다. 2000년 중국 직접투자는 8억달러 수준에 불과했다. 지난해에는 67억달러로 크게 늘며 최고치를 경신했다. 누계액은 약 816억달러에 달한다.

보고서는 중국 내 한국의 직접투자 비중은 2.5~3% 수준으로 절대적인 규모는 크지 않지만 화교 자본을 제외한 순수 외국 투자 중에는 일본과 함께 최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크게 달라진 점은 투자 목적인데 이는 2000년 이뤄진 대중 직접투자의 절반 이상은 ’수출 촉진’이 목적이었다. 제3국 진출을 위한 일종의 발판 삼기용 투자였던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현지시장 진출’을 목적으로 이뤄진 투자가 67%로 가장 많아지면서 한국 기업들이 중국을 보는 시각이 생산입지에서 수요시장으로 전환됐음을 방증한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한중 수교 이후 양국 경제는 사드 사태, 코로나 팬데믹 등 여러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상호 호혜적 관계 속에서 비약적 발전을 이뤄 왔다”며 “하지만 지금의 중국시장을 바라보며 기업이 느끼는 위기감은 그 어느 때보다 큰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중국경제 둔화 가능성, 중국의 기술추격, 미중 패권경쟁 심화 등 삼중고를 해결하기 위한 종합적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기”라고 덧붙였다.



신종모 기자 jmshin@smartfn.co.kr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