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스 vs 트럼프, 美 대선 ‘운명의 날’…애타는 삼성전자·SK하이닉스
2024-11-05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4년 만에 재집권에 성공하면서 반도체지원법 축소 가능성이 현실화되는 분위기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집권으로 향후 반도체 보조금 정책에 변화가 있을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 당선으로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추진해 온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기존 투자 전략을 새롭게 검토해야 할 상황에 놓이게 됐다.
조 바이든 정부는 앞서 삼성전자에 64억달러, SK하이닉스에 최대 4억5000만달러의 보조금과 각종 세제 혜택을 약속했다.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주에 대한 반도체 투자를 기존 170억달러에서 450억달러로 확대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2022년 6월부터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을 짓고 있으며 올해 말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SK하이닉스도 38억7000만달러를 투자해 미국 인디애나주 웨스트라피엣(West Lafayette)에 AI 메모리용 어드밴스드 패키징 생산 기지를 건설하기로 했다.
미 상무부는 지난 8월6일(현지시간) SK하이닉스와 고대역폭 메모리(HBM) 고급 패키징 제조 및 연구개발(R&D) 시설 설립을 위해 최대 4억5000만달러의 연방 보조금을 지급하는 내용의 예비거래각서(PMT)를 체결했다.
PMT 체결 2개월이 지났지만 보조금 지급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트럼프 전 대통령이 미국 우선주의와 보호무역 기조를 강화할 것으로 관측됨에 따라 반도체 보조금 축소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트럼프 당선자는 선거 유세 중에도 “반도체 거래는 나쁘다”며 해외기업 보조금 지급 규정에 부정적인 입장을 표하기도 했다.
앞서 트럼프는 지난 7월 “대만이 반도체 사업을 전부 가져갔다”며 지원법 폐기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1기부터 추진된 반도체지원법이 트럼프 2기에서도 이어질 가능성이 보인다”며 “해외 반도체기업에 대출지원·세제혜택 조항은 축소될 수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반도체지원법 폐기 원하는 이유
트럼프 당선자는 특히 중국을 압박하기 위해 기존 국가들에 10∼20%의 관세를 매기는 보편적 관세를 중국에만 60%로 올릴 방침이다. 이를 통해 첨단산업 지원책 축소와 자국 우선주의 강화를 현실화하겠다는 전략이다.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 낸드플래시 생산 공장과 쑤저우 반도체 후공정(패키징) 공장을 운영 중이다. SK하이닉스도 우시 D램 공장, 충칭 후공정 공장, 인텔로부터 인수한 다롄 낸드 공장을 각각 운영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시안공장은 전체 낸드 생산의 28%, SK하이닉스의 우시·다롄 공장은 각각 전체 D램의 41%, 낸드의 31% 수준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이슈 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낸드플래시 중국 시안공장 생산 비중은 2021년 29%, 2022년 36%, 2023년 37%로 지속해서 상승했다. 올해 40%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같은 기간 SK하이닉스의 D램 중국 우시 공장 생산 비중은 49%, 47%, 42% 등으로 하락했으나 올해까지도 40% 선을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반도체법 가드레일 조항 등에 의한 글로벌 첨단산업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도 이례적인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 수출 비중이 높은 한국 기업에는 첨단 반도체 관련 장비의 대중 수출 통제 기조 강화가 부정적일 수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지원법을 페기할 경우 미국과 중국 모두에 투자 및 생산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신종모 기자 jmshin@smartfn.co.kr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