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치킨집 3만개 육박…외식 가맹점 24% ↑

홍선혜 기자 2023-03-27 14:28:06
[스마트에프엔=홍선혜 기자] 치킨 프랜차이즈 가맹점이 3만개에 육박했다. 2021년 대비 약 14% 늘어난 수치다.

2021년은 코로나 19로 인해 외식업계가 직격탄을 맞았지만 배달·밀키트 수요 등이 높아지면서 외식 브랜드 가맹점은 전년 대비 약 24% 증가했다.

27일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2022년 가맹사업 현황 통계'에 따르면 2021년 하반기 전국 외식 가맹점 수는 16만 7455개다. 이는 2013년 통계 작성 이래(2016년부터 발표) 최대치일 뿐 아니라, 증가율도 가장 높다.

세부 업종별로 살펴보면 본죽 등 한식 가맹점 수는 3만 615개로 39.8% 증가해 치킨 가맹점 수를 뛰어 넘었으며 신규 점포 수가 많은 한식 브랜드 1∼3위는 담꾹(394개)·김준호의 대단한갈비(278개)·집밥뚝딱(158개) 등의 밀키트 포장·배달 전문점이다.

치킨 가맹점 수 역시 2만9373개로 13.6% 증가했다. 치킨 가맹점 수는 매년 증가했지만 이제는 3만개에 육박하게 됐다.
사진/=연합뉴스

가맹점 수와 신규 개점수는 BBQ(2002개·442개 증가)가 가장 많고 이어 bhc(1770개·370개 증가)가 뒤를 이었다.

커피 가맹점 수는 2만3204개로 30.0%, 제과제빵은 8779개로 5.5% 늘었다. 피자 가맹점 수도 8053개로 14.7% 증가했다.

그러나 외식 가맹점당 평균 매출은 하락하고 있다. 2억7900만원으로 전년 대비 1.4% 줄어든 수치다.

세부 업종별로 치킨(-2.2%), 한식(-6.0%), 피자(-6.5%)는 평균 매출액이 줄었고 이에 반해 커피(6.0%), 제과제빵(2.4%)은 늘었다.

외식 업종에서 가맹점을 100개 이상 가진 브랜드는 290개로 전년 대비 50개 늘고, 가맹점이 10개 미만인 브랜드의 비중은 75.2%로 소폭 감소했다.

가맹점 평균 매출액이 1억원 미만인 브랜드의 비중은 치킨(30.0%), 한식(15.8%), 커피(28.7%), 제과제빵(20.7%), 피자(13.9%) 등이다.

가맹점 평균 매출액 대비 가맹점 평균 차액가맹금(가맹본부가 받는 일종의 유통마진) 비율은 4.3%이고, 업종별로는 치킨(7.0%), 제과제빵(6.0%), 피자(5.0%) 등이 있다.

외식 업종의 개점률은 26.2%(연말 가맹점 수 대비 당해연도 신규 개점 수), 폐점률은 12.6%로 집계됐다.

외식, 서비스, 도소매 등 전체 업종을 아우르는 가맹점 수는 2021년 말 33만5298개로 전년 대비 24.0% 늘며 가장 큰 폭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공정위는 "한식 업종, 운송 업종(가맹 택시 사업 등), 편의점 업종 등에서 가맹점 수가 많이 증가했다"며 " 코로나19의 영향이 지속돼 대부분의 외식, 도소매 업종에서 가맹점 평균 매출액이 감소하는 등 가맹점 운영의 어려움이 보여졌다"고 밝혔다.

편의점 가맹점 수는 CU(1만5669개), GS25(1만5402개), 세븐일레븐(1만900개) 순이었다.

가맹본부 수는 작년 말 기준으로 8183개로 전년비 11.5% 늘었고, 브랜드 수는 1만1844개로 5.6% 증가했다.

홍선혜 기자 sunred@smartfn.co.kr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카카오 먹통' 고개숙인 김범수·이해진·최태원

'카카오 먹통' 고개숙인 김범수·이해진·최태원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최태원 SK 회장이 지난 24일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국감에 증인으로 출석해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사건에 대해 사과했다. 이들은 이번과 같은 사태가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재발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햇다.과방위 종합감사서 김범수·이해진·박성하 증인 출석…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질의 응답 이어져지난 24일 오후 2시30분쯤 열린 과방위 종합감사에는 김범수

김범수·이해진·박성하,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사과

김범수·이해진·박성하,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사과
카카오와 SK(주) C&C, 네이버의 수뇌부가 지난 15일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한 서비스 장애와 관련해 사과를 표했다. 3사는 이번 사태와 관련해 재발 방지에 노력하겠다는 입장이다.24일 오후 2시30분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종합 국정감사에서 경기도 성남시 SK(주) C&C 판교 데이터센터의 화재로 인한 서비스 장애와 관련해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 박성하 SK(주) C&C 대표,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GIO)가

김범수 카카오 "100인의 CEO를 양성하는 것이 설립 목표"

김범수 카카오
김범수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 센터장이 카카오 설립 목표에 대해 "100인의 최고경영자(CEO)를 양성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김 센터장은 24일 오후 2시30분쯤 국회 과학기술방송정보통신위원회 종합감사에 일반 증인으로 출석해 이같이 밝혔다. 이는 카카오의 쪼개기 상장 등 비판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해석된다. 김 센터장은 지난 15일 데이터센터 화재로 발생한 대국민 서비스 장애에 대해 "불편을 끼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서비스 장애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