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B금융, 핀테크 육성프로그램 ‘피움랩 5기’ 모집 

그룹 계열사와 시너지 창출 스타트업 선발
협업 기회 및 벤처캐피탈 투자 기회 제공 
이성민 기자 2023-03-17 11:23:41
[스마트에프엔=이성민 기자] DGB금융그룹(회장 김태오)은 오는 31일까지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인 ‘DGB피움랩(FIUM Lab)’ 5기를 모집한다고 17일 밝혔다. 

DGB금융그룹 제공


피움랩은 2019년 지역 최초 핀테크랩으로 출범해 2022년까지 34개 기업(총 4기)을 선발·육성했으며 DGB금융그룹 계열사와의 협업 지원 및 체계적인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을 대표하는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했다. 

DGB금융그룹과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모든 분야가 모집 대상이며 특히 5기부터는 DGB대구은행, 하이투자증권 등 계열사별 집중 모집 영역과 함께 기술 분야의 ‘금융데이터 분석 분야’를 모집 영역에 추가했다. 5기는 약 14개사 내외로 선발하며, 기술력이 우수한 스타트업은 올해 계열사와의 협업을 통한 PoC(기술검증) 기회를 제공한다.

5기 피움랩은 지역 스타트업 생태계를 육성하고 대구·경북 소재의 신규 스타트업 육성을 지원하는 ‘인큐베이터 트랙’과 DGB금융그룹 계열사와의 협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오픈 이노베이션 트랙’ 등 2트랙으로 운영된다.

선발된 기업에는 ▲DGB금융그룹 계열사 협업 기회 제공 ▲하이투자파트너스 투자 검토(벤처캐피탈 투자 기회) ▲사무·회의 공간 지원 ▲디캠프 디데이 출전권 부여 검토 ▲신용보증기금 스타트업 육성프로그램 ‘스타트업NEST’ 지원 시 가점 ▲서울창업허브(공덕) 입주 추천 등 다양한 육성프로그램을 지원하며, 연말 데모데이를 통해 운영 성과를 공개할 예정이다.

참여 신청은 DGB금융지주 홈페이지에 공지된 양식을 작성해 3월 31일 오후 4시까지 이메일로 제출하면 된다.

피움랩 관계자는 “금융권의 디지털 전환과 비대면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는 만큼 혁신적인 기술과 서비스를 DGB와의 협업을 통해 유니콘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이번 5기 모집에 스타트업의 많은 지원 바란다”고 말했다.

이성민 기자 news@smartfn.co.kr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카카오 먹통' 고개숙인 김범수·이해진·최태원

 '카카오 먹통' 고개숙인 김범수·이해진·최태원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최태원 SK 회장이 지난 24일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국감에 증인으로 출석해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사건에 대해 사과했다. 이들은 이번과 같은 사태가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재발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햇다.과방위 종합감사서 김범수·이해진·박성하 증인 출석…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질의 응답 이어져지난 24일 오후 2시30분쯤 열린 과방위 종합감사에는 김범수

김범수·이해진·박성하,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사과

 김범수·이해진·박성하,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사과
카카오와 SK(주) C&C, 네이버의 수뇌부가 지난 15일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한 서비스 장애와 관련해 사과를 표했다. 3사는 이번 사태와 관련해 재발 방지에 노력하겠다는 입장이다.24일 오후 2시30분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종합 국정감사에서 경기도 성남시 SK(주) C&C 판교 데이터센터의 화재로 인한 서비스 장애와 관련해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 박성하 SK(주) C&C 대표,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GIO)가

김범수 카카오 "100인의 CEO를 양성하는 것이 설립 목표"

 김범수 카카오
김범수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 센터장이 카카오 설립 목표에 대해 "100인의 최고경영자(CEO)를 양성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김 센터장은 24일 오후 2시30분쯤 국회 과학기술방송정보통신위원회 종합감사에 일반 증인으로 출석해 이같이 밝혔다. 이는 카카오의 쪼개기 상장 등 비판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해석된다. 김 센터장은 지난 15일 데이터센터 화재로 발생한 대국민 서비스 장애에 대해 "불편을 끼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서비스 장애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