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바이오스토리] 30년 만에 회장직 부활시키는 유한양행..."그게 최선입니까"

유일한 창업주 의지 받들어 회장직 없앴지만...
회장·부회장 직제 신설 안건 주총 상정…내·외부적으로 논란 불거져
유한양행 "특정인 선임 논의 없어…직제 유연화·인재 영입 위한 선제 조치"
황성완 기자 2024-02-28 09:38:57
우리나라는 자원부족 국가 중 하나로 과학지식 기반의 산업에 미래가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중 최고수준의 의료기술, 임상시험 인프라, 신약개발 연구개발(R&D) 역랑을 바탕으로 제약·바이오 산업은 미래 핵심 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국내 주요 바이오 기업들의 성공과 실패, 그리고 논란을 다루면서 K-바이오 기업의 경쟁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편집자주>

오는 2026년 창립 100주년을 맞이하는 유한양행이 약 30년 만에 회장직을 부활시키면서 내·외부적으로 논란이 일고 있다.

또한, 유일한 유한양행 창업주가 '투명 경영'을 위해 없앤 회장직이 다시금 부활하면서 회사 안팎으로 이정희 의장이 회사를 손에 쥐고 경영하려 하고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유한양행은 내달 15일로 예정된 정기 주주총회에서 회장·부회장 직제 신설을 위한 정관 변경을 진행하고, 글로벌 50대 제약회사로 도약하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서울 동작구에 위치한 유한양행 본사 /사진=유한양행

1926년 설립된 유한양행…2026년 창립 100주년 맞아

유한양행은 창업주 유일한 회장이 1926년 설립한 회사로, 2026년으로 창간 100주년을 맞이한다. 

회사는 초기에 미국 의약품만 수입하다 1933년 '안티푸라민'을 시초로 국산 의약품 개발·판매에 전념하기 시작했다. 현재 유한양행은 마이크로바이옴 등 다양한 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특히 비소세포폐암 신약으로 개발한 '렉라자'가 흥행하면서 작년에는 '역대급 실적'을 기록했다.

렉라자는 유한양행이 개발한 먹는 항암제로 폐암의 80%를 차지하는 비소세포폐암 치료제다. 이 제품은 바이오벤처에서 개발한 신약 후보 물질을 유한양행이 기술을 도입해 임상 개발 중 글로벌 제약사에 기술수출한 대표적인 R&D 오픈이노베이션 성공 사례로 꼽히고 있다.

유한양행은 올해에도 제2의 렉라자 개발을 위한 포트폴리오를 추진할 예정이다.

유한양행, 정관변경 및 회장직 신설 등 추진…약 30년 만에 처음

지난해 역대급 실적을 기록한 유한양행이 오는 3월 주주총회를 앞두고 지난 6일 주주총회 결의 공시를 통해 정관 변경과 회장직 신설을 추진하면서 논란에 휩싸였다.

앞서, 유한양행은 창업주 유일한 회장의 투명 경영 의지를 받들어 가족 경영권 세습을 하지 않기 위해 회장직을 없앤 바 있다. 이에 따라 전문 경영인 역시 외부 인사 영입이 아닌 내부 인사의 승진을 원칙으로 했다.

유한양행은 지금껏 단 두 명의 회장을 배출했다. 창업자와 연만희 전 회장뿐이다. 연 전 회장은 1988년 유한양행 사장에 취임, 5년간 임기를 마치고 1993년에 회장에 취임했다. 연 전 회장은 66세이던 1996년에 은퇴했다.

전임 대표였던 김윤섭 대표이사(재임기간: 2009년~2015년)도 1976년, 후임 이정희 의장도 1978년에 평사원으로 입사했고 지금의 자리에 올랐다. 조욱제 대표이사 역시 1987년에 입사해 대표까지 올랐다.

유한양행의 지배구조 변화는 한국 기업의 거버넌스(지배구조)와 관련해 의미하는 바가 크다. 유한양행은 기업 지배구조의 모범생으로 통했다. 한 세기 동안 소유와 경영을 분리한다는 창업자 정신을 지켰다는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정희 유한양행 의장.

이정희 의장 회장 선임 의혹도…"회사 규모에 맞는 직제 유연화가 필요하다 판단"

이랬던 유한양행이 약 30년 만에 정관 개정과 회장직을 부활시키면서 논란에 휩싸였다. 이런 논란은 블라인드 앱에서 한 직원으로 인해 불거졌다. 이 직원은 "현재 재임 중인 대표이사를 포함한 임원진이 이사회 장악, 정관을 변경해 사장 재임 후 의장 취임, 이후 회장직으로 올라가려고 한다"고 글을 게시했다.

회사 내부에서도 갈등은 커져갔다. 심지어 유한양행을 이정희 의장 등 특정인을 회장 자리에 앉히려고 한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이 의장은 유한양행에 혁신신약 연구개발(R&D)이라는 DNA를 주입하기 위해 노력해온 인물이다. 이 의장은 대표이사로 취임하자마자 신약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R&D와 오픈 이노베이션을 적극 추진해왔다. 이러한 전략은 취임 3년 만에 결실을 맺기 시작했다.

유한양행은 2018년 스파인바이오파마를 시작으로 얀센바이오텍, 길리어드바이오사이언스, 베링거인겔하임, 프로세사파마슈티컬즈 등 글로벌 제약사 5곳과 신약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한 것이다.

이 의장은 대표이사 재임 기간에 회사 매출 규모를 60% 가량 키운 것은 물론, 기술수출을 바탕으로 회사 체질을 신약개발사로 변모시킨 것으로 평가받는다. 외부 기술 도입에 나서고 연구소 의견을 적극 반영하는 등 조직 문화도 대폭 바꿨다. 그의 재임기간에 유한양행의 파이프라인은 9개에서 30개로 3배 이상 증가했다.

이와 관련해 유한양행이 직접 해명에 나섰다. 유한양행은 "회사의 양적· 질적 성장에 따라, 향후 회사 규모에 맞는 직제 유연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며 "외부인재 영입 시, 현 직급대비 차상위 직급을 요구하는 경우, 글로벌 연구개발 중심 제약사로 도약하고 있는 시점에서 향후 우수한 외부인재 영입을 위해서도 필요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재 ‘대표이사사장’으로 정관상 표기돼 있는 것을 표준정관에 맞게 ‘대표이사’로 변경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회사는 일부 거론되고 있는 특정인의 회장 선임 가능성에 대해서는 "본인이 언론 인터뷰를 통해 밝힌 바와 같이 절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의사결정에 대한 회장 중심화 우려도 일축했다. 회사 관계자는 "유한양행은 1969년부터 지속돼 온 전문경영인 체제에 따라 주요 의사결정 시, 독립성과 전문성을 갖춘 이사회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며 "이사회 멤버는 사외이사 수가 사내이사 수보다 많으며, 감사위원회제도 등 투명경영시스템이 정착화돼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유한양행은 지금까지 한 세기에 가까운 긴 세월동안 그래왔듯이, 향후에도 '진전·진실성' 이라는 기업의 핵심가치를 바탕으로 모든 임직원이 글로벌 50대 제약사로 나아가기 위해 혼신의 노력을 다 할 것"이라며 "더 이상 소모적인 논쟁은 없었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이정희 유한양행 의장의 회장 선임 여부는 내달 15일 진행되는 정기주주총회와 이사회 후 확인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황성완 기자 skwsb@smartfn.co.kr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