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 중 9명 “OTT 요금 인상, 5천원 이상 허용 안 돼”

TDI 메타베이, 10~60대 600명 대상 OTT 설문
주성남 기자 2023-03-21 16:44:34
[스마트에프엔=주성남 기자]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플랫폼 이용자 10명 중 9명은 OTT 이용 요금이 5,000원 이상 오르는 것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빅데이터 전문기업 TDI(대표 신성균)는 자체 개발한 ‘Metavey(메타베이)’를 통해 이달 2일부터 20일까지 600명을 대상으로 주 사용 OTT에 대한 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이미지=TDI(티디아이)


메타베이 참여자의 62%가 ‘주 사용 OTT의 요금이 인상 허용 범위’를 묻는 질문에 ‘다른 OTT를 이용할 것’을 꼽았으며 △5,000원 이내가 29% △1만 원 이상 6% △(5,000원 이상~) 1만 원 이내가 3%로 뒤를 이었다. 

주 사용 OTT의 결정 이유는 ‘유명한 작품이 많아서’가 40%로 가장 높았고 ‘저렴한 이용료’와 ‘꼭 보고 싶은 작품 때문에’가 22%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또 ‘작품의 개수가 많아서’는 16%를 차지했다. OTT 선택 이유로 ‘작품’을 꼽은 의견이 약 78%인 셈이다. 

이는 ‘요금(22%)’을 선택한 이들의 3.5배 이상 높은 수치로 작품의 개수나 질이 OTT 서비스 결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플랫폼 이용 요금이 오른다고 가정했을 때는 상황이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5,000원 이상 요금 인상을 허용한다는 의견은 전체 9%에 불과하다.

주 사용 OTT는 △넷플릭스(48%) △웨이브(18%) △쿠팡플레이(16%) △티빙(6%) △디즈니플러스(5%) △기타(7%) 순으로 넷플릭스를 선택한 이들이 절반에 달했다.

TDI가 안드로이드 사용자를 대상으로 집계한 OTT 상위 5개 앱의 설치 수(3월 2일) 역시 △넷플릭스 1,450만 대 △웨이브 1,204만 대 △쿠팡 플레이 698만 대 △티빙 708만 대 △디즈니 플러스 352만 대로 넷플릭스가 1위를 차지했다.

한편 ‘메타베이’는 뉴스 콘텐츠 사용자들이 기사에 자연스럽게 녹아 있는 연관 설문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 신개념 설문조사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키워드 매칭으로 기사마다 차별화된 설문을 노출해 이용자 관심 분야에 대한 정확한 조사가 가능하다.

주성남 기자 news@smartfn.co.kr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카카오 먹통' 고개숙인 김범수·이해진·최태원

'카카오 먹통' 고개숙인 김범수·이해진·최태원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최태원 SK 회장이 지난 24일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국감에 증인으로 출석해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사건에 대해 사과했다. 이들은 이번과 같은 사태가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재발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햇다.과방위 종합감사서 김범수·이해진·박성하 증인 출석…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질의 응답 이어져지난 24일 오후 2시30분쯤 열린 과방위 종합감사에는 김범수

김범수·이해진·박성하,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사과

김범수·이해진·박성하,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사과
카카오와 SK(주) C&C, 네이버의 수뇌부가 지난 15일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한 서비스 장애와 관련해 사과를 표했다. 3사는 이번 사태와 관련해 재발 방지에 노력하겠다는 입장이다.24일 오후 2시30분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종합 국정감사에서 경기도 성남시 SK(주) C&C 판교 데이터센터의 화재로 인한 서비스 장애와 관련해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 박성하 SK(주) C&C 대표,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GIO)가

김범수 카카오 "100인의 CEO를 양성하는 것이 설립 목표"

김범수 카카오
김범수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 센터장이 카카오 설립 목표에 대해 "100인의 최고경영자(CEO)를 양성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김 센터장은 24일 오후 2시30분쯤 국회 과학기술방송정보통신위원회 종합감사에 일반 증인으로 출석해 이같이 밝혔다. 이는 카카오의 쪼개기 상장 등 비판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해석된다. 김 센터장은 지난 15일 데이터센터 화재로 발생한 대국민 서비스 장애에 대해 "불편을 끼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서비스 장애로